React.js의 아주 기초적인 사용법

React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주 간단한 것부터 알게 된 것을 기록해 볼까 합니다. React는 프레임워크라기보다는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HTML에 간단하게 React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 HTML은 아래와 같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그냥 HTML 기본 구성</title>
    </head>
    <body>
        <div></div>
    </body>
</html>

React.js 적용하기

react.js를 적용하기 위해서 먼저 react.js javascript CDN을 적용해야 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React CDN 추가</title>

        <!-- CDN 추가 -->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7/umd/react.production.min.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7/umd/react-dom.production.min.js"></script>
    </head>

    <body>
        <div></div>
    </body>
</html>

이제 이 HTML 문서는 React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간단하죠? 한번 간단하게 적용해 보겠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React CDN 추가</title>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7/umd/react.production.min.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7/umd/react-dom.production.min.js"></script>
    </head>

    <body>
        <!-- react가 나타날 위치 -->
        <div id="root"></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 react가 나타날 위치에 h1 태그를 생성
            ReactDOM.render(React.createElement("h1", { style: { color: "blue" } }, "안녕하세요."), document.getElementById("root"));
        </script>
    </body>
</html>

먼저 react가 발현될 dev를 지정합니다. 보통은 id="root"를 많이 사용하나 바꾸어도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react 문을 작성합니다. react도 javascript이므로 javascript 형식으로 작성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ReactDOM.render(React.createElement("h1", { style: { color: "blue" } }, "안녕하세요."), document.getElementById("root"));
</script>

위의 구성은 React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것입니다.

  • ReactDOM.render(A, B); : A를 B에 표시해라라는 의미입니다.
  • React.createElement(A, B, C) : A Tag를 B의 속성으로 C의 내용을 넣어서 DOM을 만들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위와 같이 적용을 하면 id="root" 위치에 <h1 style="color:blue" >안녕하세요.</h1>이 만들어집니다.

적용하는 것은 간단하죠?

다음 포스팅은 JSX를 적용하는 방법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CSS에서 ellipsis('...')를 처리하는 방법

Google 스프레드시트로 구글캘린더에 일정 연동하는 방법

XEICON 아이콘 폰트 사용하기